반응형 패스트캠퍼스 30일챌린지31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7일차!!(ripple) 들어가며 오늘은 계산기 프로그램 IU만들기 두번째 시간입니다 어제는 ConstraintLayout 에 숫자와 히스토리를 보여주기 위한 View 엘리먼트, 각종 기능들과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는 TableLayout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html에서만 다루던 table 엘리먼트를 안드로이드에서도 보니까 많이 반가웠고 동시에 새로운 느낌이였습니다. 그에 이에 이젠 TableLayout에 들어갈 버튼 디자인을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CODE 버튼에 디자인을 입히기 위해선 drawble 파일이 필요 합니다. drawble 파일에 ripple 태그를 담는 파일을 만들어서 버튼에 추가할 계획입니다 코드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일단 디자인을 안입힌 버튼입니다. 그냥 네모네모한 버튼에 색깔도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2021. 10. 2.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6일차!!(TableLayout) 들어가며 어제 스레드에 대해서 잠깐 다뤄 봤습니다 스레드.. 별로 어렵지 않죠? 여러가지의 일을 분담해서 처리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같습니다 그러나.. 제 생각으로는 스레드 처리가 코드 상으로는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3가지 일을 하나의 스레드만 처리한다고 했을때 코드 량은 별로 힘들게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생각하는 코드 작성 자체가 싱글 스레드로 돌아가니까요 ㅎㅎㅎ.. 그래도 스레드 처리 방법만 제대로 안다면 코딩은 어렵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드디어 대망의 프로젝트 4!! 계산기 만들기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 간단한 UI작업을 할껀데 당연 Constraintlayout은 사용을 할 것이고 새로운 것을 다뤄 볼것입니다 바로~~~~~ TableLayout입니다!! TableLay.. 2021. 10. 1.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5일차!! 들어가며 어제는 여러가지를 복습하는 시간을 가셨습니다 로컬 디비라고도 부르는 Preferences에 파일을 만들어 key value로 이루어져 있는 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가지고 오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UI를 구성할 때 너무 중요한 ConstraintLayout과 Runnable 객체와 Handler객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행동을 메인 Loop 즉 스레드에 넘겨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스레드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값을 저장하고 가지고오는 행위는 안드로이드의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습니다 그래서 잘 못 만들어진 어플은들 많은 액션이 들어오면 버벅거리고 툭툭 끊기는 느낌이 들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UI를 꾸릴때는 비동기 즉 스레드로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계산기 프로그.. 2021. 9. 30.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4일차!! 들어가며 지금까지 나의 비밀 정원 어플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배표적으로 getSharedPreferences 를 통해서 로컬 디비에 접근 쓰기 읽기가 가능하도록 구현을 해보았고 Runnable 객체와 Handler객체를 통해 수행 할 로직을 스레드로 실행시키면서 UI의 변경이 스무스 하게 변경 될 수 있도록 구현 해 보았습니다. 프론트에서는 이 전 어플인 로또 추첨기에서 다뤄봤던 Constraintlayout을 사용 했기 때문에 getSharedPreferences 와 쓰레드 구현에 대해에 잠깐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CODE val diaryText: EditText = findViewById(R.id.diaryText) val diaryPreference = .. 2021. 9. 29.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