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st js5

[Scalar] nestjs API 문서 작성 하기 (feat swagger) 들어가며 프로젝트 개발을 하다보면 백앤드와 프론트 앤드의 커뮤니테이션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때 백엔드에서 만든 API에 필요한 데이터 들을 말로 전달하기엔 너무 힘들고 귀찮은 과정이기 때문에 API 문서를 작성해서 프론트 앤드에게 정보를 건내주면 훨신 좋을 것 같은데요 이때 백앤드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swagger 라이브러리가 있는데요 swagger도 좋은 문서 라이브러리지만 가독성이 조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UI 가 개인적으로 좀 구린 것 같아요 ㅋㅋ.. 그래서 요즘 뜨고 있는 문서 라이브러리를 소개해드릴려고 합니다. Scalar https://scalar.com/ Scalar — Document, Discover and Test APIs Document, Discover and Test .. 2024. 3. 21.
[Adminjs] nestjs 에서 어드민 만들기 들어가며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유저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어드민 사이트가 필요합니다. 이 떄 어드민 사이트를 만들 인원은 충원하기가 쉽다면 문제가 없지만 개인 프로젝트를 하는 소규모 팀에선 어드민 페이지를 만든다는 것은 큰 리소스 누수가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백엔드 단에서 간단하기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어드민 라이브러리를 소개해 드릴려고 합니다~! AdminJs https://adminjs.co/ AdminJS - the leading open-source admin panel for Node.js apps | AdminJS AdminJS is an open-source auto-generated admin panel for your Node.js application that al.. 2024. 3. 20.
eb-cli 사용해서 elastic beanstalk 로컬에서 배포하기 feat Nest JS $ eb init 들어가며 많은 개발자들이 프로젝트를 배포할 떄 여러가지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JenKins 나 서클CI 등 을 많이 사용하죠 그러나 요즘은 Git Action을 사용해서 배포하는게 추세입니다. 그러나 기업에선 깃 허브 유료 버전을 사용하는 곳이 많아 private 형식의 repository에서도 git action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희처럼 개발을 공부 목적으로 하는 분들에겐 public 형식으로 repository를 생성 후 git action을 사용하는 편입니다. 이때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만약 프로젝트에 config 파일을 따로 S3에 올리거나 배포 서버에 직접 업로드 후 프로젝트를 배포하면 상관 없지만 저 같은 경우처럼 Config 접근 효율성을 위해 clas.. 2023. 8. 8.
[CloudWatch] CloudWatch로 검색 최적화 Json Formatting 하기 들어가며 사내에서 백엔드 프로젝트를 맡아서 하는 중 시연회에서 기능이 안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로그를 까서 원인을 빠르게 파악 해야 하는데 내 맘대로 로깅을 한탓에 시연회는 망해버렸었죠.. 이때 든 생각이 개발도 개발이지만 프로젝트를 잘 돌아가게 하기 위해선 로깅 프로세스와 에러 트레킹이 좀 많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로깅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 드릴까 합니다. 로깅의 사전적 의미 데이터 로거(data logger), 데이터 레코더(data recorder)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장소와 상대적으로 내장 기구나 센서, 또는 외부 기구와 센서를 가지고 데이터를 기록하는 전자 장치이다. 점진적으로, 그러나 완전하게는 아니지만, 이것들은 디지털 프로세서(또는 컴퓨터)에 기반을 두며 이를 디지털.. 2023.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