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만의 꿀팁

[블록체인]블록체인 ECDSA

by 욧닭 2022. 1. 19.
반응형

목표

디지털 서명을 이해한다.

 

암호화 종류

  1. 단방향 암호화(One-way encryption)
    • 오직 암호화만이 가능하다.
  2. 양방향 암호화(Two-way encryption)
    • 평문을 암호화할 수 있고 암호문을 다시 복호화 가능
    • 양방향 암호화인 경우 당사자 2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이 몰라야하기 때문에 비밀키(Private Key)를 정한다.
    • 하지만 이 비밀키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당사자 2명 각각 서로 다른 키를 가지고 암호화를 하도록 한다면 해킹하기 어려움 -> 비대칭키 암호

공개키 알고리즘(public key encryption)

  • 비대칭키 암호는 서로 다른 키를 가지고 있음
  • 공개키(Public Key) 와 비밀키(Private Key)
  • 공개키 알고리즘은 두가지 방식으로 분류가능한데 1. 소인수분해 문제 이용 2. 이산로그문제 이용해서 만들기
  • 2번의 이산 로그 문제를 사용해서 만드는 방법이 바로 ECDSA알고리즘(타원곡선암호)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사용할 때 데이터 변조 여부와 데이터 송신자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
  • 송신자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데이터 뿐만 아니라 디지털 서명을 추가함
  • 디지털 서명: 데이터로 계산한 '해시값'을 송신자의 비밀키로 암호화 한것
  • 해시값의 계산에서는 'MD5' (128비트), 'SHA-1'(160비트)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자는 송신자의 공개키로 디지털 서명을 복호화 한 것과 디지털 서명을 복호화 한 해시값이 일치되면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변조 확인
데이터 수신자 -> (검사) -> 송신자 공개키로 디지털 서명(복호화), 디지털 서명을 복호화 한 해시값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