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지금까지 코틀린의 언어를 접해 보고 코틀린과 자바의 코드를 비교 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직 안드로이드 개발과 동떨어진 그런? 강의를 들었었습네용 ㅎㅎ 이제 드디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 해보고 자신의 OS 에 맞는 Edit의 환경 설정까지 해보는 시간을 가질 것입니다! 따라 가 볼까용 ㅎㅎ
다운로드
강의에서는 다운로드를 안드로이드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 받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저는 홈 브류라는 통합 설치 패키지를 사용하여 설치할 것 입니다
brew install android-studio
위 brew 명령어는 기존 맥 OS에 홈 브류가 설치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음과 같이 install 을 해주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설치 완료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가 됬다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AVD를 생성해보겠습니다!
저는 m1 맥북 즉 arm 아키텍처를 사용하기 때문에 x86으로 구성되어 있는 AVD를 사용 할 수 없다는 점을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VD를 설치 할 수 있는 목록들입니다!! 저기 선택한 Pixel2 를 다운받을 예정입니다 다른것들도 많은데 왜 저 디바이스냐!!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 디바이스는 일단 화면의 크기가 정당합니다 5인치로 되어 있는 디바이스고 그리고 목록 두번째 칼럼을 보면 구글 플레이 아이콘이 있는데 AVD에서 구글 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 와 같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설치할 것입니다!
저는 안드로이드 SDK 11 버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맞는 디바이스를 선택해 주었고 설치 까지 완료 했습니다!
짠 이렇게 설치가 완료되면 AVD 매니저 창에 하나의 디바이스가 뿅 하고 뜨게 됩니다!
이제 디바이스를 이리저리 만지면서 설정을 해볼까요? ㅎㅎ 저기 오른쪽에 플레이 버튼이 있습니다. 저버튼을 누르면 디바이스가 실행되게 됩니다
자!! 드디어 내 컴퓨터에서 안드로이드를 개발해볼 수 있는 디바이스가 나왔습니다!! 오오오 신기합니다 ㅋㅋㅋ
여기서 설치 끝! 이 아니라 위 디바이스를 개발자 모드로 변경 해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설정 -> About amulated device -> Bulid number 를 10번 가량 클릭하면 개발자 모드로 변경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위와 같이 system 메뉴 내에 Developter options 라는 목록이 생깁니다! 이것은 개발자 모드라고 해서 해당 디바이스에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 하고 설정할수 있는 탭입니다.
그냥 사람들은 쉽게 접할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근데 영어라서 되게 불편하네요... 그래도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되게 설래고 기쁩니다!!
아직 까지는 설정할 것들이 많이 없지만 실습을 하면서 많이 다루게 될 메뉴라고 하니 꼭 어디있는지 정도는 숙지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Homebrew 를 통한 안드로이드 설치 밑 AVD 설치를 알아봤습니다! 뭔가 벌써 설레는데요? ㅎㅎ 다음엔 프로젝트를 직접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질 것 같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패스트캠퍼스후기#30개 프로젝트로 배우는 Android 앱 개발 with Kotlin 초격차 패키지 Online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문 하단 챌린지 참여 게시글을 나타내는 문구 기재: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패스트캠퍼스 30일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8일차!! (0) | 2021.09.13 |
---|---|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7일차!! (0) | 2021.09.12 |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5일차!! (0) | 2021.09.10 |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4일차!! (0) | 2021.09.09 |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3일차!! (0) | 2021.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