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30일챌린지

[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8일차!!(principal)

욧닭 2021. 10. 3. 22:51
반응형

들어가며

어젠 drawable 파일을 활용해서 버튼에 자신만의 디자인을 입히는 작업을 했습니다. 마치 html에 css 를 이용해 디자인 하는듯 안드로이드도 drawable 을 사용해서 여러가지의 버튼을 간편하게 디자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이 있습니다. drawable 파일을 정리하는 것이 생각보다 까다롭습니다. 안드로이드 구동원리상 drawable 폴더에 저장된 폴더만 리소스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drawable 폴더 안에 또다른 폴더 예를들면 image 폴더를 만들어서 그 폴더 안에 값을 넣는다면 리소스로 인식을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drawable 파일이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파일 관리가 힘들어 집니다. 그래서 파일 명을 보다 명확하게 작명 해야하는데요?! 예를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what]_[where]_[description]_[size]
  • what = 무엇인가? 이 파일은 무엇을 위해 존재 하는가? ex) activity, fragment ...
  • where = 어디서  이 파일은 어디서 사용을 하는가 ex) main, user, settings ...
  • description = 이 파일의 용도는 무엇인가 ex) title, content, profile ...
  • size = 적용할 아이템의 사이즈 ex) 24dp, small ... (optional)

이런 식으로 principal 을 지정해 두고 개발을 한다면 수많은 drawable 파일 들 중 원하는 파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을 것이며 유지보수도 훨신 쉬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drawable 뿐만 아니라 활용도에 따라 여러가지의 principal이 있습니다

 

 

Layout

[what]_[where].xml

layout 폴더에는 여러가지 리소스들을 넣습니다 예를 들면 activity, fragment, view, item, layout 등 여러가지의 리소스들을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이 파일들도 규약을 지킨다면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말이죠

메인 에서 사용하는 엑티비티다 그럼 activity_main 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what 무엇을? 엑티비티를 where 어디서 메인에서 이런 식으로 두음 절 식 끊어서 사용한다면 훨신 편리하게 리소스들을 관리 할 수 있겠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패스트캠퍼스후기#30개 프로젝트로 배우는 Android 앱 개발 with Kotlin 초격차 패키지 Online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