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4일차!!
들어가며
오늘은 마저 배우지못한 함수들을 배워 볼 것입니다.
with
함수와 run
함수를 다뤄 볼 것입니다 with
함수는 다흔 함수와는 다르게 변수의 맴버 변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된 함수로 사용되는 다소 신기한 형태로 사용 됩니다 코드 보면서 알아볼까요?ㅎㅎ
With
Kotlin
val person: Person = Person()
with(person){
personWork()
personSleep()
println("나는 $person.name 이다")
}
위 코드의 의미는 person
변수를 초기화 한뒤 with
의 매개 변수로 변수를 받고 중광호 안에는 변수의 맴버 함수들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앞서 말씀 드렸다 싶히 원래의 코드는 this.personWork()
이지만 this
는 생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더 간결한 코드를 짤 수 있습니다!!
Java
Person person = new Person();
person.personWork()
person.personSleep()
System.out.println("나는" + person.name + " 이다")
다음과 같이 java
코드는 person
의 맴버 함수를 호출 하기 위해서는 객체를 작성하고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코틀린에서 사용하지 않는 코드들을 사용하니 보다 답답하다고 느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Run
Kotlin
val result = service.run{
port = 8080
query()
}
마지막으로는 run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앞 포스팅의 함수와 같이 apply
와 with
함수와 매우 비슷한 기능을 가진 함수입니다. 보통 변수를 초기화 할때 사용을 하나 두 함수와 다른 점은 선언만 하는 것이 아닌값을 계산을 한뒤 계산한 값을 반환하는 형태도 취할 수 있습니다
약간 모든것을 취합한 느낌? 인것 같아요!! 그리고 with
함수와 다르게 확장함수 현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코드가 보다더 간결해 질 수 있겠죠?!
Java
server.port = 8080
Result result = server.query()
확실히 port
번호를 바꾸고 server
맴버 함수의 결과값을 초기화 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번거롭습니다
확장 함수를 사용하면 간결하게 코드를 짤수 있씁니다!! 코틀린 만세!!!
오늘은 코틀린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을 모두 알아 봤습니다!!
원래 자바를 주로 사용하곤 했는데 코틀린이 요즘 핫하다고 해서 뭐지? 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다 이유가 있었군요!!! 안드로이드 개발 하면서 자주 사용해야 할 것들 같아서 두번 집고 넘어 가야 될 것 같네요 ㅎㅎ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패스트캠퍼스후기#30개 프로젝트로 배우는 Android 앱 개발 with Kotlin 초격차 패키지 Online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문 하단 챌린지 참여 게시글을 나타내는 문구 기재: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